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프린트하기

09. 반도체

  • 통신망 사진
  • 전시목표
    반도체의 구성물질과 쓰임새를 이해한다.
    전시내용
    ‘산업의 쌀’ 반도체 초집적회로의 세계를 이해하고 그 산물로 탄생한 컴퓨터의 눈부신 발달과정을 알아볼 수 있도록 한다.
    학습내용 및 원리
    - 반도체
    상온에서 금속ㆍ탄소봉 등 도체보다도 전하(電荷)를 잘 이동시키지는 못하나 유리ㆍ자기(瓷器) 등 부도체(절연체)보다는 비교적 전하를 잘 이동시키는 물질(물체)의 총칭. 즉, 상온에서의 전기저항에 있어서 저항률(比低抗)이 도체와 부도체의 중간 정도인 물질을 통틀어 반도체라고 한다. 대표적인 반도체로는 홑원소 물질[單體]인 실리콘·게르마늄·셀렌 등과 금속산화물인 산화아연
    ·산화납·산화구리 등이 쓰인다.
    ㆍ전도체 : 말 그대로 항시 전기를 통하는 물질입니다. (구리선 같은 금속 물질)
    ㆍ반도체 : 상태에 따라 전기를 통할 수도 안통 할 수도 있는 경우를 말합니다. 전기흐름의 방향에 따라 전하의 흐름이 있고 없는 다이오드 같은 것.
    - 반도체의 쓰임 : 전자제품의 부품 대부분이 반도체를 기초로 만들어진 것으로 DIODE, TR, TRIAC, OPAMP 및 각종 TTL, CMOS 칩들과 메모리 등이 있다
    - 반도체의 종류 : 반도체 종류에는 다이오드, 트랜지스터, IC(Integrated Circuit: 직접회로)등 여러 가지가 있는데 전자제품을 만드는 기본 요소가 된다고 해서 보통 반도체 소자라고 부른다.
    탐구문제
    - 초 등
    · 전원이 끊어져도 정보가 없어지지 않는 비휘발성(non-volatile)기억장치로 읽기전용 메모리를 무엇이라 하는가?
    · 반도체란 무엇을 말하는가?
    - 중 등
    · 반도체는 어디에 쓰이는가?
    · 반도체의 원료로 쓰이는 물질은 무엇인가?