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프린트하기

01. 정보통신의 역사 & 세상

  • 정보통신 사진
  • 전시목표
    정보통신의 역사를 이해하고 정보통신의 원리를 탐구한다.
    전시내용
    - 정보통신의 포괄적인 역사와 개념을 전시하여 정보통신에 대한 이해를 하도록 한다.
    - 소트웨어(정보)와 하드웨어(기기)분야로 나누어 각각의 발달과정 및 기본원리를 알아본다.
    학습내용 및 원리
    - 통신
    · 통신이란 떨어져 있는 생물과 생물 사이에 의사와 정보를 주고받는 수단을 일컫는다.
    · 통신의 역사는 인간의 발성기관을 통해 의사를 전달하는 '말', 북소리, 횃불 등 단순한 청각·시각 신호에서 시작한다.
    - 고대 통신의 종류
    · 솟대 : 오랜 옛날부터 사람들은 하늘과 땅, 인간 상호간에 의사를 전달하고자 하는 의지가 있었다. 이러한 의지표현의 하나로 우리나라에서는 마을 입구마다 솟대를 세웠다.
    · 북 : 북은 고대로부터 소리를 내는 대표적 기구로 사용되어 왔다. 악기로써의 쓰임은 물론이고, 통신의 수단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였는데, 특히 전시에 많이 사용되었다.
    · 신호연 : 예부터 연은 놀이와 더불어 상대방과 서로 의사를 전달하기 위한 통신 수단.
    · 봉수제도 : 고대 통신방식 중 가장 과학적이며 체계적으로 사용되었던 것이 봉수제도이다. 봉수제도는 낮에는 연기, 밤에는 불꽃의 숫자를 이용하여 국경의 정세를 신속하게 전달하는 데 사용하였다.
    · 파발제도 : 임진왜란 당시 제구실을 하지 못한 봉수제를 대신하여 파발제도를 시행함.
    · 우역제도 : 우역제도는 통신의 방법 중 가장 편리한 인편을 활용한 통신수단이다.
    탐구문제
    - 초 등
    · 고대의 통신제도에는 무엇이 있었을까?
    · 인편을 활용한 통신수단은 무엇이었을까요?
    - 중 등
    · 고대 통신방식 중 가장 과학적이며 체계적으로 사용되었던 것은?